비트(bit)주세요

회선 구성 본문

CS/데이터통신

회선 구성

yglee730 2021. 10. 10. 23:15
728x90

회선은 점대점 방식, 다중점 방식, 교환 방식. 

크게 3가지로 분류됩니다.

 

점대점(Point-to-Point) 방식

메인프레임 형태의 중앙의 컴퓨터와 여러 터미널들이 독립적인 회선을 이용하여 1:1로 연결되는 방식

비지능형(dumb) 터미널을 비동기식으로 중앙 컴퓨터에 연결할 때 사용

TCP/IP 환경에서는 PPP를 사용하여 1:1로 연결

 

*dumb terminal : 처리 능력과 기능이 거의 없는 매우 단순한 모니터 

https://www.techopedia.com/definition/3032/dumb-terminal

 

What is a Dumb Terminal? - Definition from Techopedia

This definition explains the meaning of Dumb Terminal and why it matters.

www.techopedia.com

점대점 방식 회선

 

다중점(Multi-point) 방식 (멀티 드롭[Multi-Drop] 방식)

하나의 장치에 연결된 하나의 전용회선을 사용하여 다수개의 장치들을 연결하고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식

컴퓨터가 폴링하는 시스템에서만 사용할 수 있음

컴퓨터가 방송하는 형태로 모든 터미널에 데이터 전송

 

터미널의 주소 판단 기능과 버퍼가 필요함

 

장점 : 데이터 양이 적을 때 효과적, 회선 비용 절감

단점 : 회선 고장 시 고장지점 이후 단말장치 운용 불가

 

*폴링 : 한 프로그램이나 장치에서 다른 프로그램이나 장치들이 어떤 상태에 있는지를

지속적으로 체크하는 전송제어 방식.

http://www.terms.co.kr/polling.htm

 

[텀즈] polling ; 폴링

통신에서, "폴링"은 한 프로그램이나 장치에서 다른 프로그램이나 장치들이 어떤 상태에 있는지를 지속적으로 체크하는 전송제어 방식으로서, 대체로 그들이 아직도 접속되어 있는 지와 데이터

www.terms.co.kr

다중점 방식 회선

 

교환(switching) 방식

교환망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

교환 방식의 분류는 이렇습니다.

 

회선 교환 방식 

정보 전송의 필요성이 생겼을 때 상대방을 호출하여 물리적으로 연결하고,
이 물리적인 연결은 정보전송이 종료될 때까지 지속된다.

특징 

- 전송 중 항상 동일한 경로를 경유하여 데이터가 전송됨

- 통신을 행하는 두 스테이션 간 통신 경로가 미리 설정된 경우 사용

- 점대점 방식의 전송 구조를 가짐

    -> 회선을 점유하여 회선 이용 효율이 떨어짐

- 접속 시 상대적으로 긴 시간이 소요되나 전송지연은 거의 없음

    -> 경로 설정 시 약간의 지연 발생하나 고속 전송 가능

- 고정적인 대역폭을 사용함

- 속도나 코드의 변환이 불가능함

- 실시간 전송에 적합함

 

패킷교환 방식

패킷마다 송신지와 수신지의 주소를 넣어 전송하면
패킷 교환기는 해당 주소에 근거하여 최종 목적지까지 패킷을 전달하는 교환 방식

-> 두 지점 사이에는 논리적인 연결은 지속되지만 물리적인 연결은 공유합니다.

 

특징

- 노드와 노드 간의 회선을 다수의 패킷들이 공유하므로 전송 효율이 높다.

- 네트워크가 일종의 커다란 버퍼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처리속도가 다른 통신기기들 간에도 정보 전송이 가능함.

- 패킷별로 우선순위를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가 가능함

       -> 우선순위가 높은 패킷들을 먼저 전송할 수 있다

- 네트워크에 트래픽이 많을 경우 회선교환 방식은 호 설정 자체가 어렵지만,

패킷교환 방식에서는 정보전송이 지연될 뿐 거부되지는 않는다.

- 경로제어, 트래픽제어, 에러제어 기능 있음

- 비교적 고속 데이터 전송 가능, 부가서비스 적용 용이

- 회선 이용효율 우수, 부재중 통신 가능

- 실시간 서비스 가능

 

패킷교환 방식은 전송을 시작할 때 우선 두 지점 사이의 논리적인 전송로 설정 방법에 따라

크게 데이터그램, 가상회선 2가지 방식으로 구분됩니다.

 

데이터그램 방식

데이터그램 : 컴퓨터 통신의 기본 단위

- 데이터그램 자체로 모든 것을 완비한 하나의 독립된 메시지

- 패킷마다 주소를 넣어서 구성하여 패킷을 독립적으로 취급함

- 송신지의 패킷 순서와 수신지의 패킷 순서가 다를 수 있음

- 패킷 손실기 송/수신지에서 복구 제어

 

장점 

- 호 설정 절차가 필요 없음

- 적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효과적

- 노드별로 전송을 하기 때문에 망 운용에 높은 유연성 제공

(오류 발생의 경우에 효과적)

 

가상회선 방식

정보전송을 시작할 때 우선 두 지점 사이에 논리적인 전송경로를 설정하고
이후에는 송수신자의 네트워크 주소 대신에 설정된 논리적 전송로의 번호만으로 교환을 수행하는 방식

- 회선교환방식의 회선과 유사한 기능 제공

- 각 패킷은 데이터정보 뿐만 아니라 가상회선 식별자를 포함함

- 경로 설정과 관련된 결정을 할 필요 없음

         -> 각 노드가 패킷에 대한 경로를 알고 있음

 

장점

- 패킷의 순서 및 오류 제어를 망에서 제공

- 패킷을 신속하게 제공

'CS > 데이터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토콜  (0) 2021.08.25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구성  (0) 2021.08.25
데이터 통신의 정의  (0) 2021.08.25